본문 바로가기
엄마의 경제 노트

엄마의 경제 노트: 017. 공급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성

by 남매맘_이작가 2022. 2. 10.

공급탄력성

 

공급탄력성이란?

 

공급탄력성은 가격에 대한 공급의 탄력성을 말합니다. 상품에 대한 공급량은 그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감소합니다. 즉, 공급탄력성이란 어떤 상품 가격에 생긴 작은 변화가 그 상품 공급량에 얼마만큼의 변화를 가져오는지의 정도를 말합니다. 수요탄력성에 경우에는 그 수요량을 결정하는 요인에 따라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 교차탄력성의 개념으로 나누어집니다. 하지만 공급의 경우에는 주로 가격탄력성에만 관심을 가집니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공급탄력성은 공급의 가격탄력성만을 의미합니다.

공급탄력성이 큰 경우에는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공급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공급탄력성이 작은 경우에는 가격에 큰 변동이 있어도 공급량의 변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공급탄력성이 변하지 않을 때는?

 

공급곡선의 모양만 보고 바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알아낼 수 있는 세 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가격탄력성이 고정된 경우입니다.

 

1) 공급곡선이 수평선인 경우: 무한대

세로축에 가격, 가로축에 공급량입니다. 공급곡선이 수평선인 경우는 아주 작은 가격의 변화가 엄청나게 큰 공급량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가격탄력성이 무한대가 됩니다. 

 

2) 공급곡선이 수직선인 경우: 0

공급곡선이 수직선인 경우에는 가격이 아무리 변해도 공급량에 전혀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 경우의 가격탄력성은 0의 값을 갖게 됩니다. 

 

3) 공급곡선이 원점에서 출발하는 경우: 1

앞서 수요곡선에서는 직선일 때 어느 점에서 가격탄력성을 재느냐에 따라 0에서 무한대까지의 값이 나온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공급곡선의 경우에는, 원점에서 출발하는 직선인 경우에는 어디에서 재든 가격탄력성이 일정한 값을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공급곡선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공급곡선 위 어느 점인지에 관계없이 공급탄력성이 언제나 1의 값을 갖게 됩니다. 

 

 

공급탄력성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 생산량 증가의 용이성:

생산량을 증가시키려 할 때 시설용량의 확장이나 추가적인 투입요소 구입 등의 측면에서 별 어려움이 없는 경우 공급탄력성이 큰 값을 갖습니다. 이 경우에는 생산량이 커질 때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생산제품 전환의 용이성:

한 상품을 생산하는 상태에서 다른 상품의 생산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경우에도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큽니다. 

 

- 고려 기간이 길수록

고려 대상이 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탄력성이 더 커지는 경향도 있습니다. 장기로 갈수록 생산과정에서 가격의 변화에 적응할 기회가 커지고 공급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요약:

어떤 상품 가격에 생긴 작은 변화가 그 상품 공급량에 얼마만큼의 변화를 가져오는지의 정도를 공급탄력성이라고 하며 수요의 경우와는 달리, 가격탄력성만을 말한다.

공급탄력성이 큰 경우는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공급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공급탄력성이 작은 경우에는 가격에 큰 변동이 있어도 공급량의 변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공급곡선이 수평선인 경우의 공급탄력성은 무한대, 공급곡선이 수직선인 경우의 공급탄력성은 0, 공급곡선이 원점에서 출발하는 경우의 공급탄력성은 1고정된 값을 갖는다.

생산량 증가가 용이할 수록, 생산제품의 전환이 용이할수록, 고려 대상이 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공급탄력성이 큰 값이 갖는다.


 

 

댓글